리소자임

리소자임은 무라미다제 또는 N-아세틸무라마이드 글리카노하이드롤라제라고도 불리며, 박테리아의 점액다당류를 가수분해할 수 있는 알칼리성 효소입니다.

리소자임의 작용기전

리소자임은 주로 세포벽의 N-아세틸무라민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 사이의 β-1,4 글리코시드 결합을 파괴하여 세포벽의 불용성 점액다당류를 가용성 당펩티드로 분해하고, 이로 인해 세포벽이 파열되고 내용물이 유출되어 세균이 용해됩니다.

리소자임의 공급원

이 효소는 인체의 다양한 조직, 조류와 가금류의 난백, 눈물, 침, 혈장, 젖 및 기타 포유류 체액, 그리고 미생물에 널리 존재하며, 그중에서도 난백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출처에 따르면, 식물성 리소자임, 동물성 리소자임, 미생물성 리소자임, 그리고 난백성 리소자임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림 1: 리소자임의 단백질 구조

그림 1: 리소자임의 단백질 구조

리소자임의 발견 과정

사람

시간

기부금

찰스 니콜

1907

최초로 세균 용해 현상을 보고하고 세포벽 분해 가설을 제시

라셴코

1909

달걀흰자의 항균효과는 효소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알렉산더 플레밍

1922

리소자임을 발견하고 명명하였으며, 그 광범위한 존재와 항균 작용 기전을 확인하였다.

로버트 로빈슨

1937

리소자임의 초기 정제 달성

데이비드 필립스

1965

리소자임의 구조를 분석하고 촉매작용 기전을 밝혀 효소학과 단백질화학의 발전을 촉진했다.

리소자임 생산 공정

1. 계란 흰자에서 라이소자임을 추출하기 위한 클래식 공정 흐름

(1kg의 신선한 달걀 흰자를 원료로 사용, 톤 단위로 확장 가능)

1 ) 전처리

  • 계란 깨기 → 여과 → 점도를 낮추기 위해 1~2배의 탈이온수로 희석.
  • 달걀 흰자 단백질을 완전히 부풀리기 위해 pH를 9.5(1 mol/L NaOH 사용)로 조절합니다.

2 ) 열염 침전물

  • 교반하면서 5% NaCl(w/v)을 첨가한 후, 70~75°C까지 계속 가열하고 10분간 유지합니다.
    (리소자임은 내열성이 있어 이 조건에서는 변성되지 않습니다)
    (열변성으로 인해 오발부민 등의 불순물이 응집되어 침전됨)
  • 얼음 욕조에서 25 °C로 즉시 냉각하고, 4 °C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침전된 침전물을 8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습니다.

3) 등전점 결정화

  • 상층액을 1 mol/L HCl로 pH 10.5로 조정 → 10% NaCl로 포화 → 4 °C에서 48~72시간 방치.
  • 리소자임 결정이 침전되고, 원심분리하여 결정을 수집한 다음 0.1 mol/L 인산 완충액(pH 6.5)에 용해합니다.

4 ) 재결정 및 탈색

  • 용액의 pH를 다시 ​​9.5로 조정하고, 색소와 기타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2~3단계를 반복합니다.
  • 2차 결정화 후 순도는 95%(SDS-PAGE)에 도달할 수 있으며, 수율은 달걀 흰자 1kg당 0.35~0.45g입니다.

5) 담수화를 위한 초여과/투석

10 kDa 초여과막이나 투석백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염분을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흰색 분말을 얻습니다.

6 ) 품질관리

  • 특정 활동: ≥9000 U/mg (Microbococcus lysodeikticus 방법)
  • 염화물: <3.5%

리소자임의 적용

1. 박테리아 DNA 추출

1 ) 균배양액 0.5~2mL(세포수 2×109 이하)을 취하여 10,000rpm 으로 2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립니다.

[ 참고] : 세균 세포의 양이 과도하면 수율이 심각하게 감소하므로 과도해서는 안 됩니다. 초기 처리량은 세균 밀도, 종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2 ) 먼저 리소자임 완충액을 준비합니다: 20 mM Tris, pH 8.0; 2 mM Na2-EDTA; 1.2% Triton X-100, 그런 다음 최종 농도가 20 mg/mL이 되도록 리소자임 건조 분말을 일정량 리소자임 완충액에 첨가합니다.

3 ) 세균, 특히 그람 양성균의 경우 20 mg/mL의 라이소자임 180 μL를 첨가하고 흔들어 현탁시킨 후 37°C 수조 또는 금속 욕조에 30분 이상 담가둡니다.

4 ) Proteinase K(20 mg/mL) 20 μL를 첨가하고 잘 섞이도록 흔든다.

5 ) 잔류 RNA가 후속 실험에 영향을 줄 경우 RNase A(100 mg/mL) 용액을 5 μL 첨가하고 흔들어 잘 섞은 후 실온에서 5~10분간 방치합니다.

6 ) 결합용액 BD 200 μL를 첨가하고, 즉시 흔들어 잘 섞은 후, 70°C 수조 또는 금속조에 10분간 넣어둡니다.

7 ) DNA 흡착 컬럼에 대한 컬럼 평형화를 수행합니다.

8 ) 위에서 식힌 시료 전처리 혼합물에 이소프로판올 100 μL를 첨가하고, 즉시 흔들어 잘 섞은 후, 잠깐 원심분리하여 튜브 캡에 있는 액체를 모읍니다.

9 ) 위 혼합물을 DNA 흡착 컬럼에 넣고 12,000rpm으로 1분간 원심분리한 후, 폐액은 버립니다.

1 0 ) 단백질 제거 용액 500 μL를 첨가하고 12,000 rpm으로 30초간 원심분리한 후 폐액은 버립니다.

11 ) 두 번 헹구세요.

12 ) DNA 흡착 컬럼 중앙에 30~100 µL의 용출액을 넣고 원심분리하여 DNA 용액을 회수합니다.

2. 박테리아 RNA 추출

1 ) 먼저 리소자임 완충액을 준비합니다: 20 mM Tris, pH 8.0; 2 mM Na2-EDTA; 1.2% Triton X-100, 그런 다음 최종 농도가 1 mg/mL이 되도록 리소자임 건조 분말을 일정량 리소자임 완충액에 첨가합니다.

2 ) 그람 음성균: 1 mg/mL 라이소자임 작업 용액 100 μL를 첨가합니다. 10초간 볼텍싱한 후 실온에서 2분간 배양합니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합니다.

3 ) 그람 양성균: 1 mg/mL 라이소자임 작업 용액 100 μL를 첨가합니다. 10초간 볼텍싱한 후 실온에서 2분간 배양합니다. 이 과정을 6회 반복합니다.

[ 참고 ] : 세균수가 5×108 세포 이상일 경우, 리소자임 처리용액의 첨가량은 200 μL입니다.

4 ) 잠시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으고 상층액은 버립니다.

5) 세포를 재현탁시키고 분산시키기 위해 볼텍싱한다. 500 μL의 용해 완충액을 첨가하고, 피펫으로 여러 번 잘 섞은 후, 불용성 물질이 더 이상 없어질 때까지 세게 볼텍싱한다.

6 ) 위의 용해물을 DNA 제거 컬럼에 넣고 12,000rpm으로 1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액을 보관합니다.

7 ) 무수에탄올을 0.5배 용량으로 첨가하고, 즉시 피펫으로 옮겨 잘 섞습니다.

8 ) 위 혼합물을 RNA 흡착 컬럼에 넣고 12,000rpm으로 1분간 원심분리한 후, 폐액은 버립니다.

9 ) 단백질 제거 용액 500 μL를 첨가하고 12,000 rpm에서 30초간 원심분리한 후 폐액은 버립니다.

10 ) 두 번 헹구세요.

1 1 ) RNA 흡착 컬럼 중앙에 효소가 없는 물 30~50 µL를 넣고 원심분리 후 RNA 용액을 회수합니다.

주문 정보

제품명

제품 번호

리소자임

10402ES

단백질 분해 효소 K 용액(20 mg/mL, RNase 무첨가, DNase 무첨가)

10412ES

RNase A(100 mg/mL)

10406ES

MolPure™ 박테리아 DNA 키트

18806ES

MolPure™ 박테리아 RNA 키트

19301ES

확장된 독서

재조합 인간 리소자임

문의